반응형 신경검사/신경전도검사(NCS)36 활동전위(action potential)란?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활동전위는 neuron이라 불리는 신경세포나 근육세포, 수용기세포와 같은 것들에서 발생합니다. 흥분은 세포막에서 일어나 막전체로 전도되거나 근처의 인접한 세포로 흥분이 확산(transmission)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외부의 특별한 자극 없이 유지되는 전위를 우리는 안정막 전위(resting membrane potential)이라고 합니다. 활동전위는 이런 안정막 전위에서 탈분극이 발생하며 탈분극(depolarization)은 안정막 전위의 절댓값이 줄어드는 전위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재분극(repolarization)은 탈분극에서 0 mV를 지나 더 위로 올라가는 overshooting을 지나 다시 내려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분극(hyperpolar.. 2025. 3. 22. 근전도 장비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2(audioamplifier and speaker, stimulator, surface electrode) audioamplifier and speaker오디오 증폭기와 스피커는 근전도 검사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검사상 화면에 나타나는 전위와 함께 스피커를 통해 소리도 전달됩니다. myotonic 전위의 특징적인 소리들 역시 근전도 검사로 감별하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신경전도검사 상에서는 단일자극에 대한 소리가 전달됩니다. stimulator신경전도검사에서 자극기는 신경을 전기로 자극하는 역할을 하며 검사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자극기는 짧은 시간에 음극에서 신경을 자극합니다. 자극은 3가지 조절모드로 자극의 지속시간, 자극의 강도, 자극의 비율이 있고 지속시간(duration)은 보통 0.05~1 msec입니다. 자극의 지속시간이 길 수록 피검자는 더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신경전도.. 2025. 2. 28. 근전도 장비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1(amplifier, sensitivity, filter, software) 근전도 장비로는 0.5uV 의 아주 작은 단위에서부터 10mV 까지 측정할 수 있어야 하며, 1~3 kHz의 범위의 frequency 에 반응하도록 설계되어야 원활한 검사를 할 수 있는 조건이 됩니다. Amplifier파형을 기록할 때 근육이나 신경에서 파형을 측정하는데 이 때 측정되는 전위는 매우 작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눈으로 확인되어지기 전에 이런 신호를 증폭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뿐만아니라 순수한 전위 이외의 다른 잡파신호들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합니다. sensitivity감도 혹은 민감도를 조절하는 것은 파형을 측정할 때 화면을 통해 구현된 그 파형의 크기를 작게 혹은 크게 하는 기능으로 진폭의 단위인 uV로 계산할 수 있다. 대부분의 근전도 장비는 5~10000uV 까지.. 2025. 2. 27. 감각신경전도검사에서 정방향검사와 역방향 검사의 비교(Finger, Palm, Wirst) 검사법 중 orthodromic으로만 해본 경험이 있고 antidromic은 경험이 없는데 손바닥과 손목 구간(distal portion)의 sensory nerve couduction study에서 conduction velocity의 차이가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 분들이 있어서 작성해 봅니다. Median sensory orthodromic Finger에서 자극하고 wirst에서 기록하는 방법으로 자극점과 기록전극의 중앙까지의 거리는 126mm, onset latecy는 2.0ms, peak latency는 2.4ms, 전도속도(CV)는 51.6m/s이 나왔습니다. Palm에서 자극하고 wirst에서 기록하는 방법으로 자극점과 기록전극의 중앙까지의 거리는 90mm, onset latency 1.6m.. 2025. 2. 16. 감각신경전도검사에서 역방향 검사법과 정방향 검사법에 대하여<antidromic method VS orthodromic method> antidromic method - 역방향 검사법 antidromic method는 혼합신경(mixed nerve)에서 자극하고 피부신경(cutaneous nerve)에서 기록하는 방법으로 기본적으로 amplitude가 크게 측정됩니다. 정방향검사법에 비해 파형을 쉽게 얻을 수 있지만 혼합신경을 자극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운동신경이 감각신경과 함께 자극되어 volume conduction에 의한 artifact가 혼입 되기 쉬우므로 검사 시에 주의해서 검사해야 합니다. orthodromic method - 정방향 검사법 orthodromic method라는 말은 말초의 감각수용기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외부의 자극이 받아들여져 척수를 거쳐 뇌로 인식되는 방향을 의미합니다. 손끝 발끝에서 자극해 머리와 가.. 2025. 2. 11. 근전도 검사를 위한 해부학적 생리학적 기초 - motor unit Motor unit Lower motor neuron 은 척수전각세포(anterior horn cell), 말초신경(peripheral nerve), 신경근 시냅스(neuromuslcular synapse), 근육(muscle)으로 구성된다. 운동뉴런은 axon과 신경계가 분포하는 모든 근육 섬유를 포함한 것을 motor unit이라고 한다. 하나의 단일 운동뉴런을 자극하면 이와 연결된 근육 섬유들에서 수축이 일어난다. motor unit의 평균 크기는 신경분포비율로 결정되기 때문에 근육마다 다양하다.MUAP 바늘로 시행하는 EMG에서 전극은 아주 약한 수축으로 발생되는 단일 섬유 전위의 활동을 기록한다. 이 활동 전위를 운동단위전위(motor unit potentials, MUAP)라 한다. 대체적으로.. 2025. 2. 8.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