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경검사/신경전도검사(NCS)

감각신경전도검사에서 정방향검사와 역방향 검사의 비교(Finger, Palm, Wirst)

by N잡스토리 2025. 2. 16.
반응형

검사법 중 orthodromic으로만 해본 경험이 있고 antidromic은 경험이 없는데 손바닥과 손목 구간(distal portion)의 sensory nerve couduction study에서 conduction velocity의 차이가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 분들이 있어서 작성해 봅니다. 

 

Median sensory orthodromic 

Finger에서 자극하고 wirst에서 기록하는 방법으로 자극점과 기록전극의 중앙까지의 거리는 126mm, onset latecy는 2.0ms, peak latency는 2.4ms, 전도속도(CV)는 51.6m/s이 나왔습니다.

 

 

Palm에서 자극하고 wirst에서 기록하는 방법으로 자극점과 기록전극의 중앙까지의 거리는 90mm, onset latency 1.6ms, peak latency는 2.0ms, 전도속도는 44.5m/s가 나왔습니다.

 

Median sensory antidromic 

wirst에서 자극하고 가운데 손가락에서 ring type전극을 이용해 기록한 파형입니다. 흰색화살표로 표시한 파형이고, 거리가 조금 더 멀어져서 그런지 latency가 0.3~0.4 정도 늘어졌고, amplitude는 약 10uv정도 작게 측정되었습니다. CV는 orthdromic에서 51.6m/s이던 것이 50.0m/s로 1.6m/s정도 감소하였지만 정상범위입니다. 

 

Palm에서 자극하고 마찬가지로 가운데 손가락에서 ring type전극을 이용해 기록한 파형입니다. 흰색 화살표로 표시한 파형이고, 거리는 antidromic과 orthodromic모두 90으로 고정하여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잘 맞게 한 건지 어쩐 건지 잘 모르겠는데 orth에 비해 latency는 0.1ms 씩 빨라졌고, amplitude는 orhodromic method가 30uv정도 더 크게 측정되었습니다 CV는 orthdromic에서 44.5m/s이던 것이 43.2m/s로 1.3m/s정도 감소하였지만 정상범위입니다. amplitude는 onset to peak로 측정해서 차이가 좀 나는 것 같았고 peak to peak로 측정한다면 비슷해 보이네요.

 

결과적으로 놓고 봤을 때 antidromic이던 orthdromic이던 검사결과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더 연습하고 했다면 이론대로 동일하게 만들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험을 해본 결과 앞서 언급한 검사의 이론 대로 어느 방법이던 큰 차이는 나질 않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