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경검사/신경전도검사(NCS)

근전도 장비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2(audioamplifier and speaker, stimulator, surface electrode)

by N잡스토리 2025. 2. 28.
반응형
audioamplifier and speaker

오디오 증폭기와 스피커는 근전도 검사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검사상 화면에 나타나는 전위와 함께 스피커를 통해 소리도 전달됩니다. myotonic 전위의 특징적인 소리들 역시 근전도 검사로 감별하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신경전도검사 상에서는 단일자극에 대한 소리가 전달됩니다. 

stimulator

신경전도검사에서 자극기는 신경을 전기로 자극하는 역할을 하며 검사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자극기는 짧은 시간에 음극에서 신경을 자극합니다. 자극은 3가지 조절모드로 자극의 지속시간, 자극의 강도, 자극의 비율이 있고 지속시간(duration)은 보통 0.05~1 msec입니다. 자극의 지속시간이 길 수록 피검자는 더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신경전도 검사에서는 가장 짧은 지속시간으로 검사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극세기(intensity)는 0~500V 또는 0~100mA까지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근전도 장비에서는 일반적으로 mA로 표시됩니다. 자극세기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은 검사자가 최대초과자극(supramaximal stimulation)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최대상 자극은 자극의 빈도 조절이 가능해 1초 에서 50초마다 다양하게 설정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신경전도검사에서는 초당 1회를 권장합니다. 초당 2, 3, 5회의 저빈도 자극은 중증근무력증의 신경근 접합부의 기능을 검사하고, 초당 20회 이상의 고빈도 자극의 경우는 LEMs에서의 점증현상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urface electrode

신경전도검사에 이용되는 표면전극은 활성전극과 기준전극으로 근육이나 신경에서의 전기자극 후 활성전극과 기준전극의 전위차이를 이용해 전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운동신경에선 belly-tendon 방법을 이용해 전위가 크게 측정되는 근육에 활성전극을 전위가 없는 건(tendon)에 기준전극을 부착하고, 감각신경에서는 신경이 주행하는 경로 위에서 전위를 측정하며 전극과 자극기의 음극과 음극이 서로 마주 보게 하여 검사합니다. 이렇게 자극과 기록전극이 음극으로 마주할 경우 화면상에 표시되는 전위는 초기파형이 음극으로 편향된 파형이 먼저 나타나고 양극으로 떨어지는 파형이 나중에 나타나는데 이것은 신경생리학에서 전위를 이런 방법으로 기록하자는 일반적인 룰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증폭기에서 활성전극과 기준전극이 바뀔 경우 파형이 반대로 양극이 초기에 편향된 파형으로 나오기 때문에 감별이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