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감각신경전도검사2

신경전도검사에서 신호의 평균화(signal averaging) 신호의 평균화(signal averaging) 우리가 신경전도 검사를 할 때 운동신경은 상지와 하지의 운동신경을 한번 단일 자극으로 자극해서 기록된 파형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 말인즉 운동신경은 한번의 자극에도 근수축으로 인해 나타나는 활동전위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MAP를 얻을 수 있고 파형으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할 만큼 파형의 크기가 감별이 된다는 말 입니다. 반대로 감각신경은 운동신경에 비해 엄청 작은 전위 이기 때문에 파형의 진폭이 매우 작습니다. 예를 들어 신경전도검사로 얻어진 운동신경의 진폭이 20000uV(2mV)이다 라고하면 이에 비해 감각신경은 고작 100~200uV정도 밖에 되질 않습니다. 말초신경에 손상이 없고 정상적인 사람은 감각신경 역시 .. 2024. 11. 8.
신경전도 검사법의 분류와 용어정리 신경전도 검사법의 분류 상지와 하지에서 시행되는 신경전도검사의 루틴 항목들입니다. 루틴검사는 상지의 median nerve, ulnar nerve, peroneal nerve, tibial nerve에서 시행하게 됩니다. 운동신경전도검사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NCV) 감각신경전도검사(sensory nerve concuction velocity, SNCV) 후기반응(late response) - F-wave - H- reflex 운동신경전도검사는 신경에 자극을 주고 근육에서 발생한 복합근육활동전위(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MAP)를 기록합니다. 이때 말단 잠복기(terminal latency), 잠복기(latency), 진폭(a.. 2023. 1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