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경검사/자율신경계검사(AFT)

자율신경계검사(AFT) - 교감신경 피부반응검사 Sympathetic skin response (SSR)

by N잡스토리 2024. 1. 15.
반응형

신경계의 분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대표할 수 있는 자율신경계는 검사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습니다. 세 가지의 기능적 요소로 내장기능,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이 있지만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관한 자율신경검사를 시행하고 종류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자율신경계 검사의 종류

1. 교감신경검사(Sympathetic function test)
1) Adrenergic function test
    Beat-to-beat BP recordings of the Valsalva manuver
    BP and HR response to standing or tilt
    BP to sustained handgrip
    BP to mental stress
    Cold pressor test
    Plasma catecholamines
2) Sudomotor function test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QSART) 
    Sympathetic skin response (SSR)
    Thermoregulatory sweat test
    Sweat imprint
2. 부교감신경검사(Parasympathetic function test)
1) Cardiovagal function test
    Heart rate response to standing or 30:15 ratio
    Heart rate response to deep breathing
    Valsalva ratio

 

하지만 실제로 임상에서 유의미하게 활용가능한 검사는 다소 제한적인 편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검사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ympathetic skin response (SSR)

교감신경 피부 반응검사로 정량적으로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사람의 몸에서 발생한 다양한 자극이나 외부의 자극에 의한 각성효과로 교감신경계의 조절하에 손바닥과 발바닥의 땀샘이 동시에 활성화되면서 일시적으로 피부의 전위에 변화가 발생하여 나타납니다. 근전도 장비를 사용해 이런 반응으로 자율신경계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기침이나 심호흡, 놀람, 통각 또는 말초신경에 전기자극을 가했을 때 반응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극 횟수가 많아지져 피검자가 놀라지 않거나 여러 번 시행하게 되면 쉽게 습관화(habituation) 반응이 생겨 검사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한 번에 검사를 끝낸다는 생각으로 최대한 단시간에 검사를 마쳐야 합니다. 습관환 반응은 같은 자극을 피검자가 의식하고 있는 상태에서 여러 번 시행하면 처음 시행했을 때 보다 점차 반응이 감쇠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검사방법

 

검사 전에 우선 신경전도검사에 사용하는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과 장비가 필요합니다. 그다음 상지와 하지에 활동전극을 부착합니다.

장비세팅 : sensitivity: 100~500uv, sweep speed: 0.5~1초, filter: LFF:0.1~0.5Hz, HFF: 500~1000Hz, ISI: 0.1~0.2ms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의 전극부착 위치

실제 임상검사에서는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을 이용한 비침습적이 검사로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총 2개의 채널로 구성할 수 있는데 우선 전극을 설치할 피부의 표면에 알코올솜으로 깨끗이 닦고 상지에서는 손의 두 번째 지간에서 2~3cm 위쪽의 손바닥에 활성전극, 같은 위치의 손등에 기준전극을 부착합니다(1 채널). 하지에서는 첫 번째 지간에서 3~4cm 위쪽의 발바닥에 활성전극, 같은 위치의 발등에 기준전극을 부착합니다(2 채널).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의 소리자극(박수), 터치자극

총 3가지 방법으로 검사를 시행하는데 첫 번째는 박수로 깜짝 놀라게 하여 반응을 봅니다(소리자극). 두 번째로는 갑자스런 터치로 깜짝 놀라게 하여 반응을 봅니다(터치자극). 세 번째로는 갑작스러운 전기자극을 가한 뒤 반응을 봅니다(전기자극).

 

기선이 동요 없이 안정됨을 보여주기 위해 1번과 2번은 무시하고 3번의 시작점에서 큰소리로 박수를 칩니다(clap). 그리고 5번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박수를 한 번 더 칩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다리를 터치하는데 한쪽씩 번갈아가며 깜짝 놀랄 정도의 세기로 터치합니다.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전기자극

 

마지막으로 전기자극은 전극을 설치하지 않은 쪽 발의 peroneal nerve를 자극합니다. 최초 20mA의 자극세기로 자극하여 반응을 보고 만일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면 40mA, 60mA까지 자극세기를 올려 검사합니다. 잠복기는 처음 파형이 상승으로 나타나는 지점(onset)과 최고 정점(peak)과 저점(through)을 마킹합니다. 잠복기와 진폭으로 정상범위를 따지지 않고 반응이 없을 때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자율신경검사의 적응증

진행성 자율신경병증

기립불내성(orthostatic intolerance): 실신, 기립빈맥증후군, 기립저혈압

원위부 소섬유신경병증

교감신경매개성 동통

자율신경부전의 경과 관찰

치료에 대한 반응 평가

말초신경병증 자율신경과 연관된 증상이 있는 경우

다한증, 무한증, 소한증

 

자율신경계와 연관된 임상증상

자율신경계 임상증상
심혈관계 기립저혈압, 누운자세고혈압, 불안정한 혈압, 돌발고혈압, 빈맥, 서맥
발한운동계 발한감소 혹은 무한증, 다한증, 미각발한, 고열, 열못견딤
소화기계 구강건조증, 소화불량, 위정체, 빠른비움증후군, 변비, 설사
비뇨기계 야뇨증, 빈뇨, 급박뇨, 잔뇨, 요실금
생신기계 발기부전, 사정부전, 역행사정, 지속발기증
동공이상, 눈꺼풀처짐, 음식섭취와 연관된 비정상적 눈물분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