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경검사/유발전위검사(EP)

BAEP - 뇌간청각유발전위

by N잡스토리 2023. 11. 25.
반응형

뇌간청각유발전위 (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 BAEP)는 1970년대에 개발된 검사입니다. 소리자극을 이용해 8번 뇌신경인 청신경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현재 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짧은 잠복기 청각유발전위(short latency BAEP)는 10 msec 이내에 1~7개의 정점을 갖는 파형을 측정하여 뇌간의 손상유무와 장애부위의 진단 등 여러 신경학적 증상을 진단하는데 이용됩니다. 

소리자극으로 청각기관의 전달과정을 거쳐 와우의 모세포에서 발생된 전기신경자극이 청신경다발의 각 신경체마다 생물학적으로 전달되는데 이런 여러 신경체의 전기신경 자극을 두피상에서 기록합니다. 말초의 청감각신경을 평가할 수 있고, 어지럼증이나 균형감각의 이상, 전정기관의 이상, 이명, 두통, 신생아에서 청신경 발달의 평가 등 다양한 질환에 응용됩니다.

 

BAEP파형의 기원

 

각 파형의 기원을 살펴보면

I파형은 동측 청신경(auditory nerve)

II파형은 와우신경핵(cochlear nuclei)

III파형은 상부올리브핵(superior olivary nucleus)

IV파형은 동측 혹은 반대측 교(pons)의 외측모대핵(lateral lemniscus)

V파형은 반대측 중뇌(midbrain)

VI, VII파형은 내측슬상체(medial geniculate body)와 청방사선(auditory radiation)으로 추정합니다.

 

 

일반적으로 I파형부터 V파형까지는 재현성이 뚜렷하게 관찰되어 임상적을 의미 있게 판단하고 분석합니다. VI, VII파형은 환자에 따라 가변적으로 관찰되기 때문에 판독 시에 고려하지 않습니다.

 

정점 간 잠복기(inter peak latency)의 의미

 

판독시에 정점 간 잠복기를 고려하는데 I-III, III-V, I-V의 차이를 분석하고, 소리 자극에 의한 흥분이 전달되는 시간을 반영하므로 뇌간 장애유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I-III은 청신경과 pontomedullar, III-V는 뇌교부터 중뇌까지의 경로를 의미합니다.

 

소리자극

 

소리자극은 주로 광대역 클릭음(click sound)을 이용하여 헤드폰이나 삽입형 이어폰을 환자에게 씌우고 소리를 들려줍니다. 2~5kHz 사이의 주파수를 이용해 11~15Hz 사이의 자극 빈도(frequency)로 자극을 줍니다. 자극의 방신 또한 다양한데 주로 잡파의 혼입이 적은 교환전위(alternating) 방식을 사용합니다. 

환자가 들을 수 있는 최초의 가청역치(hearing thershold)를 측정하고 측정한 dB에 60dB을 더한 값을 자극음으로 하되 최대 120dB을 넘기지 않게 합니다. 120dB 이상의 강도로 자극을 주면 고막손상이 우려되기 때문에 그 이상으로 자극하지 않습니다. 반대편 귀에는 동측의 자극세기에서 40dB 작은 강도의 차폐음(masking noise)을 주어 자극이 반대편 귀로 골전도/음전도 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파형의 기록

 

BAEP의 정상파형

 

기록되는 파형의 평균화는 최소 500~2000회의 자극으로 파형을 기록합니다. 파형의 몽타주는 2채널로 구성되며 두정부(vertex)의 Cz와 양측 유양돌기(mastoid)인 A1, A2, 그리고 접지전극은 이마(Fpz)에 각각 설치합니다. 1채널은 Cz-A1, 2채널은 Cz-A2로 하고 2개의 채널에서 동시에 파형을 기록합니다. 모든 전극의 임피던스는 2.5㏀ 이하로 유지하고 화면상의민감도(sensitivity)는 0.1~0.5 /division, 시간축(timebase)은 1 /division으로 설정합니다.

청각유발전위검사는 마취나 수면의 영향이 거의 없지만 환자가 각성해 있는 경우 근전도의 혼입이나 작은 움직임에도 검사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할 만큼 영향을 많이 받는 검사이므로 검사 중에는 몸에 최대한 힘을 빼고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코골이를 하는 경우는 다시 각성시킨 상태에서 힘을 빼고 검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