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경검사/유발전위검사(EP)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 전정근유발전위

by N잡스토리 2023. 11. 22.
반응형

현재 임상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이석기능검사는 주관적시축검사(subjective visual vertical, SVV), 안저촬영, 전정근유발전위(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VEMP) 입니다. 주관적시축검사와 안저 촬영은 난형낭(utricle)의 기능을 반영하고, 전정근유발전위검사는 구형낭(saccule)의 기능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정근유발전위검사는 구형낭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VEMP는 청각유발전위에 사용하는 click sound 보다는 좀 더 무거운 톤의 순음(tone burst)의 소리자극으로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유발전위를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SCM)에서 기록하는 검사로, 소리자극이 되고있는 동안에 SCM 근육에 힘을주어 근육이 수축하는 동안 구형낭자극에 의해 일시적으로 수축이 억제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 입니다. 

 

소리자극이 들어가는 동안 SCM근육을 지속적으로 수축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환자의 검사에 대한 참여도가 검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경전달경로

 

소리자극에 의한 구형낭의 신호

전정신경의 아래가지(inferior division)

전정신경핵(vestibular neucleus)

안쪽전정척수로(medial vestibulospinal tract)

부신경(accessory nerve)

 

검사방법

 

VEMP의 자극과 기록전극 치

 

채널의 구성은 2채널로 활성전극은 SCM의 중간지점에 붙이고 기준전극은 Erb.s point 또는 쇄골뼈에 부착합니다. 접지전극은 이마에 부착합니다. 전극의 임피던스는 2.5 KΩ 이하로 유지합니다. 자극은 헤드폰(headphone)이나 삽입형 이어폰(tubal insert phone)을 이용합니다. 

소리자극은 검사하려는 동측의 자극이 125dB PeSPL 또는 90~100dB nHL로 자극하고 반대편은 80dB 의 masking noise로 설정합니다. 500Hz 내외의 순음을 사용하면 안정적으로 파형을 얻을 수 있고, 150 ~200회 정도 평균화 하여 검사합니다.

 

환자를 바로 눕힌 상태에서 소리 자극을 줌과 동시에 사진처럼 환자몸을 윗몸일으키기 하듯이 30도 정도 머리를들고 턱은 당긴 상태에서 소리가 들리는 반대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게 하여 SCM 근육을 지속적으로 수축시킵니다. 소리자극이 끝날 때 까지 힘을 계속 줄 수 있도록 검사간에 계속 인지를 시켜주며 검사합니다. 환자가 힘을 잘 주는지 알기위해 스피커를 켠상태에서 검합니다. 근육이 강하게 수축할 수록 파형이 잘 측정되고 진폭도 커집니다.

 

검사 자체게 SCM 근육에 지속적으로 힘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매우 힘들어하는 검사중 하나입니다. 검사를 한번 하고 3~5분간 충분히 휴식을 취한 후 다시 시도합니다. 파형의 재현성을 확인하고 좌, 우 각각 4번의 파형을 기록하고 그 중 가장큰 진폭을 나타내는 파형을 비교합니다.

 

검사파형

 

cVEMP의 정상파형

 

파형을 분석해 보면 두쌍의 이상성반응이 p13-n23, n34-44에서 보입니다. p(positive)와 n(negative)은 각각 파형의 극성을 의미하고 숫자는 잠복기를 의미하는데 두 반응 중에서 p13-n23은 전정에서 유래하고 n34-p44는 와우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p13-n23의 파형만을 분석합니다. 파형이 형성되지 안거나 진폭이 2배 이상 차이가 날때 이상소견입니다. p13-n23의 진폭을 분석하는데 좌우의 진폭차를 좌우 진폭의 합으로 나누는 지표로 다음과 같습니다.

(|R-L|/(R+L)) X 100 = VEMP asymmetry

메니에르병(Ménière disease)이나, 전정신경염, 청신경초종(vestibular schwannoma), 앞반고리관결손 증후군(superior canal dehiscenec syndrome), 양측 전정신경병증(bilateral vestibulopathy)등의 말초전정장애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될 수 있고 뇌줄기(brainstem)나 가쪽숨골경색, 소뇌경색 등의 중추전정장애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전정기관을 검사하는 것이어서 주로 어지럼증 환자의 진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VEMP 단일 검사로 진행하는 경우보다 SVV, 비디오 안진검사, 청각유발전위 등과 함께 검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비의 세팅

 

경험에 의해 미루어 볼 때 검사의 세팅이 잘 되어있어야 검사가 원활하게 진행됩니다.

stimulaor Tips or headphone
Ipsilateral sound(frequency -1kHz) Tone(tone burst)
Rise/Fall time(ms) 2ms
Duration 30ms
Rate(Hz) 5.1 Hz
Contralateral sound Noise
Filter LFF: 20Hz, HFF: 1.5kHz
Timebase  10ms/div
Sensitivity 50uv/div
Presentation level 100 dB nHL(130dB SP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