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와 수술(posterior fossa surgery)의 범주에 속하는 소뇌교각종양은 일반적으로 소뇌(cerebellum)와 뇌교(pons) 사이에 발생한 종양입니다. 후두와의 범위는 뇌간, 소뇌교각, 4 뇌실기저부, 두개골기저부와 같은 위치를 말합니다.
발생하는 종양은
Acoustic neuroma / Vestibular schwannoma
Meningioma
Epidermoid
Arachnoid cyst
Dermoid cyst
Trigeminal neuroma와 같은 종양이 있습니다.
다양한 종양의 종류 중에서 특히 전정신경초종(Vestibular schwannoma)이 90%로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편측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드물게 양쪽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뇌교각부위는 다양한 뇌신경들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신경을 침범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환자에게 발생하는 다양한 임상적 특징들이 있습니다.
임상적 특징
Cochlear CN VIII - 비대칭적인 감각성 난청 또는 이명, 청력 저하 또는 소실이 발생할 수 있음
Vestibular CN VIII - 평형이상이나 현기증
CN VII - 안면신경마비(facial palsy)가 발생할 수 있음
CN VI - 외전신경마비(lateral rectus palsy)가 발생할 수 있음
CN IX - 연하장애(dysphagia)가 발생할 수 있음
CN X - hoarseness and aspiration
CN XI - shoulder weakness
CN XII - 말하기 및 삼킴 장애가 발생할 수 있음
Brainstem lesion - 두통, 시력저하 및 실조증등이 발생할 수 있음
수술적 치료
그림에서 왼쪽 사진을 해부학적으로 봤을 때 우측의 그림과 겹쳐서 본다고 생각해 보면 종양이 발생하는 부위가 뇌신경 5, 7, 8의 근처이고 다른 각도에서 봤을 때 뇌의 기저부까지 종양이 내려가면서 커지는 구조라면 9, 10, 11, 12번 뇌신경의 근처 까지도 침범할 수 있고, 종양이 옆으로 더 크게 자란다면 뇌간을 침범할 수 도 있습니다.
수술에 다양한 접근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환자의 청력 손실유무에 따라 접근법이 약간 다른데 환자에게 청력 손상이 없어서 청력을 보존하고자 할 때 retrosigmoid approach와 middle fossa approach 방법을 이용하고, 환자에게 이미 청력 소실이 있어 청신경을 보존할 필요가 없는 경우 translabyrinthine approach 방법을 이용해 auditory cannal까지 드릴을 이용해 뼈를 갈아서 접근하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환자에게 청력이 있는 경우는 청신경을 보존하기 위해 수술 중 청각유발전위를 시행해서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파형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하지만 translabyrinthine approach의 경우 이미 청력이 소실된 상태이기 때문에 청각유발전위 검사를 시행하지 않습니다.
middle fossa approach의 경우 내이도의 바깥쪽으로 자란 종양의 제거에 유리하고, retrosigmoidal approach의 경우 소뇌교각에 위치한 종양에 대해 접근이 용이 하지만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translabyrinthine approach는 종양의 크기와 상관없이 접근이 용이하고 넓은 시야로 안면신경과 주변 뇌신경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청력은 보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신경검사 > 수술 중 신경계감시(INM)'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raoperative EMG monitoring - 수술 중 근전도 감시 (1) (1) | 2024.01.10 |
---|---|
소뇌교각종양 수술에서 신경감시방법 (1) | 2024.01.01 |
Cerebral aneurysm clipping - 대뇌동맥류 결찰술 (1) | 2023.12.27 |
수술 중 신경계감시를 위한 마취 2 (1) | 2023.12.21 |
수술 중 신경계감시를 위한 마취 1 (1) |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