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동맥류는 뇌 안쪽에 존재하는 뇌 동맥혈관 벽의 약한 부분에 후천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지속적으로 강하게 가해지며 혈관벽이 약해지고 부풀어 오르면 뇌 동맥류가 됩니다. 현대인의 식습관이나 기름진 음식들과 운동부족과 같은 원인들 때문에 혈관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게되고 쌓인 콜레스테롤 때문에 주변 혈관의 혈류가 빨라지면 마찬가지로 혈관벽이 약해지고 뇌 동맥류로 발전하게 됩니다. 뇌동맥류는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잘 발결되지 않고 건강검진으로 뇌 MRI나 MRA, 뇌혈류 초음파와 같은 검사들을 통해서 발견되곤 합니다.
또한 가족력이 있거나 흡연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고 흡연시 혈중 단백 분해효소가 분비되어 혈관의 교원섬유와 탄력섬유를 파괴시켜 뇌동맥류의 발생률을 높입니다.
뇌동맥류의 크기
크기(mm) | size |
5mm이하 | Small |
5~10mm | Medium |
11~25mm | Large |
25mm 이상 | Giant aneurysm |
지주막하 출혈
뇌의 안쪽에서 발생한 동맥류가 터져버린 경우 두개골 안에 뇌 실질 조직으로 피가 흐르게되면 뇌졸중(stroke)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같은 경우를 지주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매우 위급한 상황이라 즉시 수술을 통해 피를 제거하고 출혈이 있는 뇌동맥혈관을 결찰해 출혈을 막아야 합니다. 출혈의 정도에 따라서 단순히 뇌조직의 손상이나 심한경우 기능장애 혹은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뇌동맥류는 혈류를 공급받은 parent artery와 목(neck), 혈류 주머니(sac)와 dome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맥류는 크게 3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로 saccular type(outpouching form arterial bifurcation) - Lacks internal elastic lamina
두 번째로 fusiform (arterial dilatation)
세 번째로 dissecting (pseudo aneurysm)
동맥류의 원인
atherosclerosis
hypertension
connective tissue disorders
sickle cell anemia
infections
congenital or familial inheritance
trauma
smoking
alcohol
동맥류의 증상
Unrupptured (aneurysm) |
Neck pain |
Severe headaches |
Change in speech |
Blurrd vision |
Rupptured (SAH) |
patients often describe as "the worst headache of my life." |
neck pain |
Nausea and vomiting |
Alterations in consciousness |
Seizures |
Visual symptoms - sensitive to light |
동맥류의 치료
치료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수술적 결찰술, 코일링, 스텐트 삽입술이 있습니다. 그 중 결찰술이 가장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뇌동맥류의 결찰술은 혈관 내 코일색전술과 함께 뇌동맥류가 파열되어 지주막하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입니다.
동맥류 결찰술의 과정
동맥류를 결찰하기 위해 개두술(Craniotomy)을 시행하고 뇌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전두엽과 측두엽 사이의 실비안열(sylbian fissure)을 박리해 동맥류가 있는 부위를 노출 시키고 외과용 클립을 이용해 parent artery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temporary clipping) 한 다음 동맥류의 목(neck)을 결찰(permanant clipping)해서 혈류의 흐름을 차단합니다.
대부분의 동맥류는 주변의 결합조직과 연결되어 있어 동맥류와 주변 죅을 완벽하게 분리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시행됩니다. 그리고 결찰할 때 주변에 perforator라고 하는 아주 작은 동맥혈관 가지들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서 영구클립(permanant clip)시 함께 클립되었는지도 반드시 확인해야합니다. 아주 작은 동맥혈관이라하더라도 이 혈관이 뇌에서 어떤 기능을 담당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잘못하면 수술 후에 환자에게 마비 증상이 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것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술 중 신경감시를 반드시 함께 시행합니다.
동맥류를 완전히 결찰 한 후에는 intraoperative angiography로 혈류의 흐름이 원활한지 확인하고, doppler를 이용해 한 번더 혈류의 흐름을 확인하고, 수술중 신경계 감시검사를 통해 환자의 운동과 감각 기능의 이상유무를 수술이 종료 될 때 까지 지속적으로 확인합니다.
'신경검사 > 수술 중 신경계감시(IN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뇌교각종양 수술에서 신경감시방법 (1) | 2024.01.01 |
---|---|
Cerebellopontine angle tumor - 소뇌교각종양 (CPA tumor) (0) | 2023.12.28 |
수술 중 신경계감시를 위한 마취 2 (1) | 2023.12.21 |
수술 중 신경계감시를 위한 마취 1 (1) | 2023.12.20 |
뇌하수체 종양제거 수술 - 경접형동접근법(transsphenoidal approach, TSA) (2)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