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경검사/수술 중 신경계감시(INM)

The cranial nerve - 2(뇌신경 검사)

by N잡스토리 2023. 12. 15.
반응형

The cranial nerve

VII부터 XII까지 뇌신경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뇌신경의 검사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umber Name  Modality Function How monitored
VII Facial Both 얼굴표정, 침샘, 혀앞쪽의 2/3 미각 EMG from facial muslce
VIII Vestibulocochlear Sensory Hearing and balance BAEP
IX Glossopharyngeal Both 편도선과 인두의 감각, 인두, 혀뒤쪽의 2/3 미각, 이하선은 운동 EMG from soft palate
X Vagus Both parasympathetic to thoracic and abdominal viscera, motor to vocal muscle EMG from vocal cords(endotracheal tube를 이용한 recurrent laryngeal nerve)
XI Spinal accessory Motor Motor to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EMG from trapezius
XII Hypoglossal Motor Motor to tongue EMG from tongue

 

7) Facial nerve (안면신경) - CN VII

안면신경이 지배하는 얼굴의 근육

 

안면신경은 운동신경과 특수감각신경, 부교감성 신경섬유가 함께 있는 혼합신경입니다. 얼굴에 표정을 짓기 위한 근육의 운동과 미각을 담당하는 특수감각신경섬유와 타액분비에 관여하는 부교감성 신경섬유, 앞쪽 혀의 2/3가 미각을 느끼는 기능을 합니다.

안면신경이 자극 받았을 때 근전도 검사에서 나타나는 근수축반응

 

좌측 안면신경 주변에서 발병한 뇌종양에서 오른쪽 C4자극 후 얼굴에서 기록된 facial MEP 파형

 

수술 중에는 안면신경이 지배하는 얼굴의 근육 중에 검사자가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큰 근육에 바늘전극을 삽입해 근전도(free running EMG)를 관찰하고 신경에 손상을 받거나 신경으로 의심되는 부분을 전기로 자극하면 근육의 수축반응이 일어나므로 안면신경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안면신경 주변에 발병한 뇌종양에서 근전도 검사와 더불어 facial MEP검사를 동반 시행하여 안면신경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8) Vestibulocochlear nerve (청신경) - CN VIII

 

 

청신경은 감각신경으로 균형감각과 청력을 담당합니다. 와우신경(cochlear nerve)과 전정신경(vestibular nerve)이 합쳐진 것으로 내이도(internal auditory canal, IAC)에서 안면신경과 함께 주행합니다. 청각을 담당하는 와우신경은 코르티기에 연결되고, 평형기능을 담당하는 전정신경은 반규관의 팽대부릉(ampullae)과 난형낭, 구형낭의 평형반에 있는 감각상피에 연결되어 평형감각을 유지하는 기능을 합니다. 

 

tubal insert phone을 이용한 BAEP검사와 BAEP의 실제 수술 중 변화 - 수술 중 잠복기가 연장되었다가 회복한 모습

 

수술 중에는 청각유발전위(BAEP) 검사법을 이용하여 청신경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9) Glossopharyngeal nerve (설인신경) - CN IX

 

 

설인신경은 혀와 인두의 운동과 감각을 모두 포함한 혼합신경입니다. 특수감각은 혀의 후방 1/3의 점막에 분포하여 미각과 일반감각을 담당하고, 부교감섬유는 이하선(parotid gland)에서 타액을 분비하는 일에 관여합니다. 

입천장의 안쪽에 연구개(soft palate)와 stylopharyngeus muscle에 전극을 설치하여 마찬가지로 근전도 반응을 통해 신경을 확인할 수 있으나, 입천장에 전극을 설치하는 일이 어렵기 때문에 검사법이 아직 정형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10) Vagus nerve (미주신경) - CN X

 

 

미주신경은 경부와 흉부 복부에 이르고 뇌신경 중 가장 길고 광범위하게 각장기에 퍼져 있습니다. 연수에서 기시하여 CN IX, CN XI과 함께 경정맥공(juglar foramen)을 통과하는 운동과 감각기능을 갖는 혼합신경이며 부교감신경입니다.  위, 대장, 소장, 간, 췌장, 비장, 신장 등에 분포하고 후두근의 운동인 발성을 조절합니다(vocal cord).

수술 전 전신마취 과정에서 미리 준비한 기도삽관튜브에 전극이 붙어있는 형태로 그대로 기도삽관하여 근전도 감시로 미주신경을 전기자극하거나 수술로 인해 자극될 때 근육의 수축반응으로 미주신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 Accessory nerve (부신경) - CN XI

 

 

부신경은 연수와 척수에서 나오는 섬유가 합쳐저 경정맥공을 통과하는 순수 운동신경입니다. 뇌근(cranial roots)의 신경섬유는 구개근과 인두근의 분지가 되고, 척수근(spinal roots)은 대공(foramen magnum)을 지나 경정맥공으로 나오며 말초에서 승모근(trapezius)과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을 지배합니다. 

 수술 중 감시로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에 전극을 삽입해 근전도 감시로 부신경을 전기자극하거나 수술로 인해 신경이 자극을 받을 때 나타나는 근수축 반응으로 부신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흉쇄유돌근의 경우 바늘 전극 삽입시 경동맥 주위 이기 때문에 매우 주의를 요합니다. 

 

12) Hypoglossal nerve (설하신경) - CN XII

 

hypoglossla nerve
수술 중 자극을 받는 경우 나타나는 근수축 반응

 

설하신경은 연수의 설하신경핵에서 기시하는 섬유다발로 순수 운동신경이며 목으로 내려가 혀의 근육에 분포하며 혀의 움직임을 통제합니다. 외인성 근육(extrinsic muscle)은 혀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근육으로 혀밑 근(hypoglossus), 이설근(genioglossus-아래턱부터 혀), 붓혀근(styloglossus-혀바닥과 혀끝)이 있으며, 내근(intrinsic muscle)은 혀를 둥글게 하거나 좁게 하는 혀의 형태 변화를 담당합니다.

수술 중 감시로 혀에 직접 바늘 전극을 삽입해 근전도 감시로 설하신경을 전기자극하거나 수술로 인해 신경이 자극을 받을 때 나타나는 근수축 반응으로 설하신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12개의 뇌신경의 해부학적인 위치와 기능 그리고 수술 중에 어떤 방법을 이용해서 뇌신경을 감시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청신경과 시신경을 제외한 나머지 신경들은 대부분 근전도감시로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확인하여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