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 종양
뇌하수체 종양은 두개골 기저부에 터어키안이라는 공간에 위치한 뇌하수체에 생기는 종양입니다. 뇌하수체(pituitary gland)는 시상하부에서 전달신호를 받아 인체에 중요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뇌하수체의 위로는 시신경이 지나가고 양옆으로는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ICA)과 안구의 움직임에 관영하는 3, 4, 6번 뇌신경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뇌하수체 전엽과 뇌하수체 후엽으로 나눌 수 있는데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성장호르몬(GH), 부신피질호르몬(ACTH), 갑상선자극호르몬(TSH), 여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 젖분비자극호르몬(PRL, LTH)이 분비되고
뇌하수체 후엽에서는 바소프레신(vasopressin, ADH), 옥시토신(oxytocin)이 분비됩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 호르몬이 분비되다 보니 호르몬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동반됩니다. 그리고 종양의 크기가 커지면서 주변의 시신경을 압박해서 시야결손이나 시력저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호르몬 분비종양
프로락틴종(prolactinoma): 젖분비호르몬인 프로락틴을 비정상적으로분비하는 양성 뇌하수체 종양으로 가장 흔한 경우이며, 남성의 경우 발기불능이나 성욕저하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여성의 경우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유즙분비나 무월경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행인 것은 약물로 대부분 치료가 잘 되는 편으로 약물로 호르몬의 수치를 낮추면 종양의 크기가 감소합니다.
성장호르몬(GH secreting pituitary adenoma): 성장호르몬 분비선종 환자에서는 특징적으로 말단비대증(acromegaly)이나 행동장애, 시각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선종(쿠싱):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이상은 중년여성에게서 주로 발병하며 부은 얼굴이나 팔과 다리는 말랐는데 복부에 비만이 생기거나 멍이 쉽게 드는 증상이 있습니다.
비기능성 뇌하수체 선종(nonfunctioning pituitary adenoma, NFA)
호르몬을 분비하지 않고 종양만 생기는 경우로 발견이 어려우며 시야장애나 성기능장애, 월경불순 등의 증상이 발생한 후에야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적치료
약물치료에도 호전이 어려운 환자들은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한데 이때 코를 통해 수술을 하는 경접형동 접근법(transsphenoidal approach, TSA)을 이용하면 콧구멍으로 내시경을 통해 수술을 하기 때문에 머리를 여는 개두술을 시행하지 않고 수술을 할 수 있고, 수술 시야를 잘 확보할 수 있습니다. 개두술을 이용하는 경우 접형동 내에 염증이 있거나 종양의 위치가 위쪽으로 커진 경우에 시행합니다.
수술 적응증
뇌하수체 선종(pituitary adenoma, PA): 대부분 양성종양으로 호르몬의 영향으로 신체에 변화가 나타납니다.
두개인두종(craniopharyngioma, CP): 뇌하수체의 줄기 근처의 세포에서 발병하는 양성종양으로 대부분 제3뇌실을 침범하여 위치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라스케 낭종(Rathke's cleft cyst): 뇌하수체의 전엽과 후엽의 사이에서 발견되는 물주머니(cyst)입니다.
수막종(meningioma): 뇌와 척수를 덮는 막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배부분 양성으로 물혹 형태이거나 석회화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척색종(chodoma): 태아기의 잔재조직의 세포 잔재물에서 유래하는 천천히 커지는 악성종양입니다.
수술방법
1. 전신마취하에 nasal cavity를 준비하고 MRI를 통해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하고, CT검사를 통해 뇌하수체 양쪽의 내경동맥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또한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시신경의 손상이나 내경동맥 손상에 의해 환자의 기능 저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술 중 신경계감시검사를 준비합니다.
2. 콧구멍을 통해 내시경 및 수술 기구가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 nasal septum과 sphenoidal sinus를 제거합니다.
3. 공터키안(sella)을 제거하면 경막(dura)이 노출되고 경막을 열면 뇌하수체에 있는 종양이 보입니다.
4. 종양은 대부분 링모양을 된 수술기구(ring currette)로 제거하고 완벽히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로 대체합니다.
'신경검사 > 수술 중 신경계감시(IN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 중 신경계감시를 위한 마취 2 (1) | 2023.12.21 |
---|---|
수술 중 신경계감시를 위한 마취 1 (1) | 2023.12.20 |
반측안면경련과 삼차신경통에서 미세혈관감압술(MVD) (4) | 2023.12.19 |
Basic of INM - 수술 중 신경계감시의 기본 3 (1) | 2023.12.17 |
Basic of INM - 수술 중 신경계감시의 기본 2 (1) | 2023.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