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asm3

수면 단계의 판독-2(EEG, EOG, Chin EMG) 수면 검사의 판독은 검사를 받은 피검자의 데이터를 대략 3번에 걸쳐 판독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1차적인 판독으로 수면 stage를 판독한다. 두 번째 단계는 staging 후 호흡이벤트(respiratroy event)에 대해 판독하고, 세 번째로 검사 중 발생한 arousal 과 PLM event 및 cardiac 이상을 판독해야한다.  EEG 판독 수면검사의 기본은 뇌파(EEG) 이다. EEG 파형을 보고 수면의 단계를 정해주는 scoring을 해야한다. scoring은 검사의 시작시점인 검사 세팅 후 불을 끄는 light off 로 부터 시작하여 검사가 끝나는 light on 시점까지이다. 기본적으로 EEG와 EOG, chin EMG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이다.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잠(sle.. 2025. 2. 8.
수면 단계의 판독-1 수면다원검사는 기본적으로 미국수면학회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ASM)에서 발표한 기준에 따라 판독하도록 되어있고 수면 검사방법 및 판독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에서도 그 룰에 따라 검사결과를 판독합니다. 판독을 하기에 앞서 기본적으로 AASM manual을 반드시 암기하고 있어야 판독이 가능합니다.  AASM의 3가지 유형미국수면학회 기준의 3가지 유형으로 - 권장 (recommended): 권장규칙으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칙입니다.- 허용 (acceptable): 권장규칙의 대안으로 사용가능한 방법입니다.- 선택 (optional):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거나, 생리학적인 중요성이 알려지지 않거나 , 합의된 결정사항이 없는 사건.. 2024. 11. 10.
수면다원 검사의 판독 수면다원 검사를 하면 자는 동안 무엇을 볼까? 수면다원검사는 잠을 자는 동안 다양한 지표들을 통해 환자의 수면상태,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검사로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턱과 다리의 근전도(electromypgram, EMG), 안전도(electrooculogram, EOG), 호흡기류(airflow signal), 호흡노력(respiratory effort signals), 산소포화도, 심전도(ECG), 자세의 변화(position), 코콜이와 같은 신호를 분석합니다. EEG수면의 여부와 수면단계를 측정함EOG수면의 여부와 단계를 측정함 특히 렘수면턱근전도수면의 여부와 단계를 측정함 특히 렘수면다리근전도다리 움직임 여부와 장애를 판단호흡기류무호흡, 저호흡, RERA 등 호.. 2024.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