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경검사82

Free running EMG vs Stimulated EMG - 수술 중 근전도 감시 (2) Free running EMG (spontaneous EMG) vs Stimulated EMG (triggered EMG) 1) Free running EMG Free running EMG는 한글로 번역하자면 자유진행근전도 혹은 자발근전도 정도로 해석하면 될 것 같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외래 근전도 검사실에서 하는 근전도와 비슷한데 근육에 바늘만 꽂아 놓고 화면상에 흘러가는 EMG를 계속 보는 것과 같습니다. 이런 원리로 수술 중에 뇌신경이나 척수 신경을 검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그러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뇌신경이 어떤 근육을 지배하는지 척수신경의 위치에 따라 어떤 근육이 몇 번 척수신경에 의해 지배되는지 기본적으로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Free running EMG는 근육이 지배하는 뇌신경이나 척수.. 2024. 1. 11.
우리는 빅5로 간다 - 4(자기소개서 작성방법) 원하는 직장이 병원, 회사, 연구소 등등 어디건 입사할 때는 무조건 자기소개서, 이력서 같은 걸 작성해서 제출합니다. 자기소개서에는 기본적으로 인적사항, 경력사항, 성적증명서, 어학증명서, 그 외에 기타 자격사항들을 작성해서 제출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들 얘기하는 자기소개서라는걸 작성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본인에 대한 히스토리들이 잘 정리되어 있으면 좋습니다. 지금까지 살면서 일어났던 몇몇의 큰 이벤트 들을 떠올려 보고 거기에 살을 더해서 스토리를 만드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성적 장학금을 받고 학교를 다닐 만큼 성적이 우수하다거나 어학성적이 남들에 비해 높다거나 아니면 그런 것들 외에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어서 자격증(한국사, 컴퓨터등등)이 있다던지 하는 것들을 쭉 나열해서 정리해.. 2024. 1. 10.
Intraoperative EMG monitoring - 수술 중 근전도 감시 (1) 자발 근전도와 유발근전도(free running EMG and stimulated EMG)는 1792년 Luigi Galvani가 개구리의 뒷다리에서 처음 시도한 것으로 전기자극으로 근육이 수축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후 1890년에 Etienn-Jules Marey가 처음으로 근전도반응을 기록했고, 1922년 Gasser & Erlanger가 Oscilloscope로 근육에서 나오는 전기반응을 기록했습니다. 이후 1960년대에 들어 전정신경종양을 포함하는 수술에서 안면신경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 시도하게 되고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EMG는 척추(spinal cord)와 관련된 수술뿐 아니라 뇌신경(cranial nerve)을 침범하는 수술에서도 수술 중에 SSEP와 MEP와 함께 시행되어 신.. 2024. 1. 10.
신경생리 분야 취업의 근무환경(장점vs단점) 신경생리학 분야에 근무하길 희망하는 분들이나 이 분야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근무하면서 느낀 장점과 단점들에 대해 한 번 다뤄보겠습니다. 신경생리학 분야는 큰 카테고리 안에서 볼 때 임상 생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임상생리학은 어떤 검사들이 있을까요? 임상생리학 (clinical physiology) 신경생리 Electroencephalography (EEG) - 뇌파 Nerve conduction study (NCS) - 신경전도검사 Polysomnography (PSG) - 수면다원검사 Epilepsy monitoring unit (EMU) - 24시간 뇌파 집중감시 Evoked potential (EP) - 유발전위검사 Transcranial doppler .. 2024. 1. 7.
WADA test - 와다검사 WADA test는 측두엽 뇌전증환자의 수술 전 검사의 하나로 1941년 Gardiner가 외과적 수술을 하기 전에 대뇌의 반구 중 어느 쪽에 언어의 기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procaine을 대뇌 반구로 주입해 국소적인 대뇌 마취를 시도한 것을 기반으로 1949년 Wada가 아모바비탈(amobarbital)을 내경동맥에 주사하여 언어 우성반구를 알아보기 위해 반구를 마취한 후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후 Milner 등에 의해 수술 후 기억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환자를 예측하기 위해 기억력 검사로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Wada test는 일시적으로 수술하고자 하는 반구 또는 차례대로 약물을 주입해 반구를 마취시켜 마비되지 않은 쪽 반구에 의해 어느 정도의 언어기능이나 기억능력이 유지.. 2024. 1. 3.
미주신경 자극술(Vagus nerve stimulation)을 이용한 난치성뇌전증의 치료 미주신경자극술이란? 미주신경자극술(vagus nerve stimulation, VNS)은 자체적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기발생장치를 체내에 이식해 그 자극이 미주신경을 자극해서 뇌전증발작을 조절하는 난치성 뇌전증 치료 방법중에 하나입니다. 미주신경을 전기로 자극하면 뇌전증 발작이 억제되는원리를 이용한 치료 방법으로 흉부에 전기발생기를 이식해서 미주신경에 연결한다음 피부와 혈관 주위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합니다. 전기펄스 발생 장치에서는 몇 분마다 뇌에 에너지 임펄스를 주도록 설정이 되어있고 뇌전증 환자에게 자동으로 주기적인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고환자가 전조증상을 느낄 수 있다면 스스로 전기자극을 주어 발작을 조절 할 수있도록 되어있습니다. 자극기는 전기신호발생기, 전선, 프로그램 막대,.. 2024. 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