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2

Lateral spread response, LSR - 측면전파반응 측면전파반응 측면전파반응(lateral spread response)은 반측성안면경련 환자에서 시행하는 검사로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 시행하여 수술 전에는 검사를 통해 반측성 안면경련 환자의 진단을 위해 검사할 수 있고, 수술 중에는 LSR이 사라지는 걸 확인해서 수술이 잘 되었다는 걸 확인하기 위해 검사하고, 수술 후에는 호전된 환자의 증상과 함께 LSR의 소실을 다시 한번 확인해 환자의 예후를 진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검사를 시행합니다. 측면전파반응은 안면신경이 지배하는 안면근육에서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단일 자극에 의해 반응이 유발되어 파형으로 기록할 수 있는데, 안면신경의 여러 분지 중에서 안면신경의 상악분지인 temporal branch 또는 zygomatic branch, 하악분지인 bu.. 2023. 11. 20.
Facial nerve conduction study - 안면신경전도검사 안면신경(facial nerve)은 갑작스러운 안면마비나 안면의 떨림, 뇌종양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되면 안면에 이상이 있음을 느끼게 되고 안면마비라는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안면에서 발생하는 질환들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예후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안면신경근전도(facial nerve conduction study, FNCS)나 신경흥분도검사(nerve exciability, NET) 순목반사검사(blink reflex)와 같은 검사법들이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됩니다. 1) Facial nerve conduction study - motor 안면신경전도검사는 얼굴의 안면신경 분지에 전기자극을 주고 안면 근육에서 유발되는 복합근육활동전위(compound muscle action poten.. 2023. 11. 20.
Repetitive nerve stimulation test(Jolly test) - 반복신경자극검사 반복신경자극검사는 신경근전달(neuromuscular transmission) 과정을 평가하는 전기생리학적 검사입니다. 신경근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myasthenia gravis(MG), Lambert-Eaton myathenic syndrome, botulism 등이 있습니다. 이런 환자들을 진단하는 목적으로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의 원리는 운동신경에 일정한 자극을 반복적으로 가하고 이때 나타나는 복합근육활동전위(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MAP)의 변화를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연속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근 섬유의 지속적인 감소(decremental) 또는 증가(incremental)는 진폭의 감소 또는 증가.. 2023. 11. 19.
Deep peroneal, Superficial peroneal, Plantar nerve 1) Deep peroneal nerve - motor 총 비골신경(common peroneal nerve)의 주요 분지인 deep peroneal nerve는 fibular에서 2개의 가지로 분지 되는데 deep peroneal nerve와 superficial peroneal nerve로 나눠집니다. 먼저 deep peroneal nerve는 발가락의 신전(extensor) 전체와 tibialis anterior, extensor hallucis longus, extensor digitorum longus, peroneus tertius muscle의 운동기능을 컨트롤합니다(motor). 그리고 다시 발목에서 두 번째 발가락의 감각영역을 담당합니다(sensory). deep peroneal nerve.. 2023. 11. 19.
Femoral nerve, Saphenous nerve, 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 퇴대퇴신경은 허벅지 전방을 담당하는 신경으로 nerve root L2~4에서 기시 합니다. 고관절을 굽히고 무릎을 펴는 운동 기능을 수행하고 그래서 허벅지의 가장 큰 근육인 대퇴사두근(quadriceps femoris)을 지배합니다. 대퇴사두근은 대퇴직근(rectus femoris),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내측광근(vastus medialis), 중간광근(vastus intermidius)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퇴신경의 감각신경은 대퇴 전내측부의 감각을 담당하는 내측 대퇴피부신경(medial femoral cutaneous nerve)과 전외측 감각을 담당하는 외측 대퇴피부신경(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이 대표적입니다. 1) Femoral nerv.. 2023. 11. 18.
Musculocutaneous, Axillary, Suprascapular - motor 1) Musculocutaneous nerve - motor (근육피부신경)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의 말단 분지 중 하나인 근육피부신경은 nerve root C5~7에서 시작해 상완신경총의 윗줄기, 앞분지를 거쳐 외측삭(lateral cord)을 통해 분지 됩니다. 이후 오훼완근(coracobrachialis)으로 뚫고 들어간 후 상완이두근(biceps brachialis)과 상완근(brachalis) 사이로 주행하여 이 세 가지 근육에 각각 운동신경 분지를 내고 팔오금에서 상완이두근 건의 외측으로 이어지면서 외측전완피부신경(later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이 되어 전완 요골측 피부의 감각을 담당합니다. 검사 방법은 환자를 바로 눕히거나 앉힌 상태에서 .. 2023.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