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7

근전도 검사를 위한 해부학적 생리학적 기초 - motor unit Motor unit Lower motor neuron 은 척수전각세포(anterior horn cell), 말초신경(peripheral nerve), 신경근 시냅스(neuromuslcular synapse), 근육(muscle)으로 구성된다. 운동뉴런은 axon과 신경계가 분포하는 모든 근육 섬유를 포함한 것을 motor unit이라고 한다. 하나의 단일 운동뉴런을 자극하면 이와 연결된 근육 섬유들에서 수축이 일어난다. motor unit의 평균 크기는 신경분포비율로 결정되기 때문에 근육마다 다양하다.MUAP 바늘로 시행하는 EMG에서 전극은 아주 약한 수축으로 발생되는 단일 섬유 전위의 활동을 기록한다. 이 활동 전위를 운동단위전위(motor unit potentials, MUAP)라 한다. 대체적으로.. 2025. 2. 8.
수면 단계의 판독-2(EEG, EOG, Chin EMG) 수면 검사의 판독은 검사를 받은 피검자의 데이터를 대략 3번에 걸쳐 판독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1차적인 판독으로 수면 stage를 판독한다. 두 번째 단계는 staging 후 호흡이벤트(respiratroy event)에 대해 판독하고, 세 번째로 검사 중 발생한 arousal 과 PLM event 및 cardiac 이상을 판독해야한다.  EEG 판독 수면검사의 기본은 뇌파(EEG) 이다. EEG 파형을 보고 수면의 단계를 정해주는 scoring을 해야한다. scoring은 검사의 시작시점인 검사 세팅 후 불을 끄는 light off 로 부터 시작하여 검사가 끝나는 light on 시점까지이다. 기본적으로 EEG와 EOG, chin EMG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이다.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했듯이 잠(sle.. 2025. 2. 8.
빠르면 5분 컷 잘 못하면 한도 끝도 없이 오래걸리는 blink reflex 잘하는 법 blink reflex 검사가 어찌 보면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려운 검사 중 하나인데요? 이 blink reflex 어떻게 하면 좀 더 수월하게 잘하고 잘 된 검사와 잘 안된 검사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 보려고 합니다.  blink reflex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그림들을 마주하게 되는데 어떤 방법으로 하던 괜찮습니다. 기본원리는 기준전극(빨간색+)은 전위가 없는 곳, 활성전극(검은색-)은 전위가 있는 안륜근(oculi)에서 합니다. 활성전극은 눈동자 아래 있는 안륜근에 위치시킵니다. 다만 첫 번째 그림을 보면 기준전극도 안륜근에 포함이 됩니다. 그래서 검사를 해보면 R1의 시작점이 양극편향(positive deflection)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파형들은 판독에 혼란을 주기 .. 2024. 12. 8.
신경전도검사의 수행과정과 파형은 어떻게 보고 분석하는 것일까?-2<sensory NCS> 운동신경은 운동신경을 자극한 다음 그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이 수축하면서 발생하는 전위를 측정하는 것이라면 감각신경은 신경을 자극한 다음 신경에서 반응을 기록하기 때문에 근육에서의 반응보다 진폭이 매우 작습니다. 근육에서는 몇 mV이지만 감각신경에서는 몇 uV에 불과합니다. 그래서 특히나 검사자의 숙련도가 검사결과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주변의 전기적인 잡음에 의한 영향도 검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하고 noise를 제거해야합니다.. sensory NCS 검사방법 motor NCS와 마찬가지로 음극과 양극으로된 한쌍의 전극으로 활성인 active와 기준전극인 reference로 이 두 전극간의 거리는 3~4cm정도 간격을 두고 위치시킵니다. SNAP는 순수감각신경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파형을 기록.. 2024. 11. 29.
신경전도검사의 수행과정과 파형은 어떻게 보고 분석하는 것일까?-1<motor NCS 의 원리와 분석> 검사순서 NCS의 검사순서를 살펴보면 항상 motor NCS를 먼저 수행하고 그 다음 sensory NCS를 하게되는데, 이 순서에도 이유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운동신경이 감각신경에 비해 더 자극이 잘되고 감각신경보다 파형의 진폭의 크기가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sensory NCS가 워낙 작은 전위(potential)이기 때문에 검사가 잘 안되는 경우가 많아서 감각신경부터 검사하는 경우에는 파형이 잘 안나오거나 검사자의 테크닉에 의한 오류로 파형의 진폭이 원래 갖고있는 것 보다 더 작게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sensory NCS의 정방향 검사법(orthodromic method)에서는 motor NCS에서 자극했던 부위에 그대로 기록전극을 붙이고 검사를 하면 신경이 주행하는 부위와 거.. 2024. 11. 28.
신경전도검사의 퀄리티를 높이는 방법-2<오류, 오차, Fliter, 용어등> 검사과정에서 오류를 발생시키는 요인들 신경전도검사의 퀄리티를 높이는데 있어서 특히 중요한 사항이 또 거리측정입니다. 그래서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는데 환자의 포지션에 따라서 거리가 달리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ulnar nerve인데 검사를 할 때 팔을 완전히 편 상태(extension)에서 검사하게 되면 팔을 구부리고 검사했을 때(flexion) 보다 거리가 짧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반드시 팔을 70~90 º 정도 구부린 상태에서 오차를 줄인 후 검사를 해야 정확한 전도속도(cv)를 구할 수 있습니다.(검사 자세의 중요성!!)  잠복기(latency)에서 발생되는 오류로는 같은 sweep speed(timebase)와 같은 gain(sensitivity)로 검사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2024. 11. 25.
반응형